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초록별과 그린 라이프

"백세 장수, 유전자가 따로 있다"...첫 게놈 연구 결과 나와 본문

My Prep.for green life/+유전공학->뉴Bio-IT

"백세 장수, 유전자가 따로 있다"...첫 게놈 연구 결과 나와

김민섭 [Dr. rafael] 2011. 10. 8. 22:13

(서울=뉴스1 여인옥 기자) 지난 2004년 숨진 세계 최장수 노인헨드리케 반 안델-쉬퍼(사진) 할머니의 게놈 연구 결과가 제출돼 장수 유전자의 비밀을 밝힐 수 있게 됐다고 라이브사이언스닷컴(livescience.com)이 16일 보도했다.

이 사이트에 따르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VU대학 메디컬센터 연구진은 지난 14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국제인간게놈회의에 쉬퍼 할머니에 대한 기초 게놈 연구 결과를 제출했다.

연구진은 쉬퍼 할머니의 게놈 연구가 미래 장수 유전자 연구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게놈 연구가 이뤄진 백세이상 장수 노인은 쉬퍼 할머니가 처음이다.

의학 발전을 위해 시신을 기증한 쉬퍼 할머니의 몸에서는 순환계 질환과 알츠하이머, 파킨슨병을 예방하는 유전자들이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다.

할머니의 시신을 사망 직후 해부한 결과 115세의 노인인데도 불구하고 치매 증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또 113세 때 받은 두뇌 테스트에서 60∼75세 노인보다 더 우수한 결과가 나왔다.

할머니는 살아생전 자신의 장수 비결이 매일 청어를 먹은 결과라고 말했다. 하지만 할머니의 모국인 네덜란드에서는 매일 청어를 먹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며, 이 할머니의 장수 비결은 음식이라기보다는 유전자라고 이 사이트는 지적했다.

또 쉬퍼 할머니의 게놈 유전자 연구를 통해 장수 의약품이 개발되면 매일 청어를 먹을 필요가 없이 간단한 의약품만으로도 할머니와 같이 10억분의 1의 확률을 지닌 유전자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할머니는 지금까지 확인된 115세 이상 장수를 누린30명의 노인들 중 한 명이고, 게놈 유전자 연구에 참여한 수백명 중 한 명이다.

의사들은 아직 이 연구가 기초단계에 불과하지만 장수 유전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질병 유발유전자와 노화 유전자를 억제하고 장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쉬퍼 할머니는 100세 때 유방암에 걸려 치료를 받았고, 115세 때인 2004년 위암에 걸려 사망했다. 이 사이트는 할머니의 사망 당시 네덜란드에서는 위암이 드문 병이 아니었지만 할머니가 어렸을 때는 흔한 병이었던 게 흥미롭다고 전했다.

 

입력 : 2011.10.17 11:58

 

...................................................................

 

 

장수(長壽)의 비결이 무었인가? 지구적으로 보면 장수마을이 많다. 그러나 우연인지 필연인지 몰라도 아무도 정답을 내지 못했다. 그런데 이 장수의 비결을 유전적으로 밝힌 사람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생물학부의 <레오날드-갸란테> 교수다.
그는 인간의 10번 염색체에 있는 샤추인(Sirtuin)이란 유전자에서 초파리의 수명은 30%, 선충의 수명을 50%나 증가시켰다고 했다.

평소에는 <활성화>하지 않는다.

활성화의 방아쇠를 당기는 것은, "적은 음식"이라는 것이다. 즉 식사 칼로리를 제한하면, 그제서야 장수유전자 (Sirtuin) 가 활성화 한다고 한다.

이것은 생물이 식량이 부족하면, 자손를 만드는 것보다 몸을 유지하려고 작동 본능에서 유래한다는 이론의 바탕위에 선다.

소식(少食),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칼로리의 70~80%라야 이 유전자가 작동한다니, 요즈음 같은 포식사회에 소식(少食)으로 장수할 사람이 과연 있겠는가?

사츄인(Sirtuin)이란? < NAD 의존성 탈 아세틸화 효소군>이며, 체내에서 항상 중요한 역할을하는 효소군 (단백질)이다.

인간의 서츄인은 7​​ 종류 (SIRT1 ~ SIRT7)나 알려져 있으며, 인간의 SIRT1 (사츄인)은 효모의 Sir2 (사쯔)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 <사츄인>은 음식부족 등 환경-스트레스 요인에 반응하여, 활성화되고 세포의 복구, 에너지 생산 등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사츄인>은 생체 기능의 조정 역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사츄인> 및 <사쯔>가 활성화되면 유전자 보호물질인 히스톤 (DNA 통합 제어 단백질)의 아세틸화 (분해)를 막아준다.

그리고 이 아세틸화 방지하여 DNA의 아로메아 단축을 촉진하는 테로메아제의 작용을 억제해 준다.

즉 이 작용에 의해 세포의 수명을 연기해주는 것이다.

인간은 60 억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매일 신진 대사를 반복하고 있지만, 세포의 수명을 결정하는 것은 염색체에 연결된 끈 모양의 '테러메어 "이다.
==============================
Source : Washington Post
Date : 24 August 2003
(참고; 인터넷 위키피디아 일본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