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초록별과 그린 라이프

"바이오시밀러 주도권"에 따라 제약업 경쟁구도 급변 본문

My Prep.for green life/+유전공학->뉴Bio-IT

"바이오시밀러 주도권"에 따라 제약업 경쟁구도 급변

김민섭 [Dr. rafael] 2012. 4. 13. 23:31

화이자, 머크 등 속속 시장참여‥시장확대 등 시장구조 변화 예상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세계 각국 정부의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바이오시밀러 산업 육성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특허만료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는 기존 값비싼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들의 허가만료가 임박함에 따라 제네릭인 바이오시밀러가 각 정부의 의료비 및 보험료 지출 부담을 덜어줌은 물론 현재 정부와 환자들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국제적 약가인하 노력에 지원군이 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국내 바이오시밀러 기술경쟁력은 매우 뛰어난 수준으로 개발 및 생산 부문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2011년 한화케미칼이 개발한 `HD203`(`엔브렐` 바이오시밀러)를 다국적제약사 머크가 우리 돈으로 약 8,000억 원에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한 권리를 사감으로써 국제 제약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또 최근 국내 에이프로젠사가 개발한 `GS071`(`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가 다국적제약사인 사노피와 일본 제네릭 업계 1위인 니찌이코사에 의해 선진시장인 일본으로 라이센싱됨으로서 국제적 수준의 임상, 허가 및 사업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나서고 있는 코스닥기업 바이넥스 측은 "블럭버스터급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속속 만료됨에 따라 바이오시밀러 시장확대 등 시장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면서 "특히 세계적으로 국민의 건강유지비용 절감 등에 관심이 확대되면서 기존의 바이오시밀러 최대기업인 테바(Teva), 산도스(Sandoz), 밀란(Mylan)등 바이오시밀러 거대기업에 대한 M&A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등 제약업계의 급격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넥스 관계자는 또 "다국적제약사 중에서는 화이자(Pfizer), 머크(Merck), 암젠(Amgen), 바이오젠아이덱(Biogen-Idec) 등이 바이오시밀러 산업에 뛰어들었고, 재미있는 점은 이들 중 자체 오리지널 의약품 개발사들도 상당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라면서 "향후 이러한 바이오시밀러 생산의 주도권을 누가 갖느냐에 따라 제약업의 경쟁구도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 2012 메디파나뉴스,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대한민국 의약뉴스의 중심' 메디파나뉴스

 

.......................................................................

바이오시밀러 사업 재편 직시해야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을 복제해 동등한 품질로 만든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의 가장 큰 저력은 뭐니해도 개발 기간이 짧아 가격이 싼 것이 장점이다.

세계적 기업인 삼성은 지난해 4월 미 퀸타일즈와 함께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 등의 생산을 위한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세웠다.

5대 신수종사업의 일환으로 10월 인천 송도에 본사와 연구개발(R&D) 센터를 완공하면 미국식품의약국(FDA) 등 선진 규제기관의 승인을 얻어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세계시장에 판매할 계획이다.

십년 안에 대부분 사라지게 될 사업과 제품에 대비하지 못하면 미래에는 도태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는 한의 개원가에도 한약재 등 방대한 천연물의약품 활용에서 활로를 찾아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덕목으로 다가오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사업 재편은 한의계와는 아무런 관계 없다는 인식으로는 미래의 답을 찾을 수 없는 시점이다. (한의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