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초록별과 그린 라이프

[18년만의 최악의 폭염과 열대야] 한강 하류까지 녹조 확산‥수돗물 관리 '비상' 본문

Our issu.&New thinking/+그런데세상은요

[18년만의 최악의 폭염과 열대야] 한강 하류까지 녹조 확산‥수돗물 관리 '비상'

김민섭 [Dr. rafael] 2012. 8. 10. 06:30

 ◀유래없이 긴 폭염과 열대야 ▶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까지 올들어 유래없이 계속되는 폭염과 열대야..

 

전국 최고 폭염 기록 10, 18년만의 높은 온도, 평년보다 4~5도 높아..

 

◀전국 상수원 녹조의 번식과 확산 ▶

[뉴스투데이]

전국 주요 하천에서 녹조현상이 확산되면서 수돗물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오늘 서울지역 한강유역에는 4년 만에 조류주의보가 내려질 것으로 보입니다.
박찬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지난달 북한강 상류에서 시작된 녹조 현상이 2천2백만 수도권 주민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한강 상수원까지 확산됐습니다.
서울시는 잠실 수중보 하류에서 수질 검사를 한 결과, 한강대교의 경우 남조류 세포 수가 최대 2,730개까지 검출되는 등 조류주의보 발령 기준을  크게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한강 하류까지 조류 번식이 크게 확산된 겁니다.

이성재/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과장
"7월 중순경에 청평댐, 의암댐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잠실 수중보 하류까지 퍼져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조금 길게 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독성 물질이 아직 검출되진 않았지만 독성 물질을 내뿜을 수 있는 남조류도 일부 발견됐습니다.
서울시는 이르면 오늘 중 한강 잠실수중보에서 팔당댐까지 조류주의보를 발령할 것으로 보입니다.
팔당댐 상류에서 이미 지난달 25일 조류주의보가 발령된 데 이어, 서울 지역 한강 유역에 조류주의보가 발령되는 건 지난 2008년 이후 4년만입니다.
낙동강과 영산강 등 다른 식수원에서도 녹조 현상은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
경기도와 경북의 일부 지역에선 물에서 냄새가 난다는 민원이 수백 건 이상 들어오고 있습니다.

유남길/경기도 용인시 유방동
"특히 양치질이나 이런 걸 할 때 물을 틀어놓으면 냄새가 올라와서‥"
환경부와 서울시 등은 정수처리된 수돗물을 끓여 마실 경우 전혀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지역에서 생수 판매가 크게 늘어나는 등 수돗물을 둘러싼 불안감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 낮 기온이 36도까지 올라 8년 만에 최고 기온을 기록한 4일 오후 서울 광진구 노유동 청담대교에서 바라본 한강에 녹조가 관찰되고 있다.

북한강팔당댐 일대에서 발생한 녹조는 계속되는 불볕더위에 상승한 수온과 빈도가 줄은 강수에 한강을 따라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뉴시스)

 

 Staurastrum (녹조류) 현미경 사진

    

녹조 발생 원인

녹조류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섞여 있는 질소(N)와 인(P)을 영양분으로 호수 수온이 25℃∼30℃로 유지되고 일조량이 증가할 때 발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올해는 장마 때 많은 비가 내려 댐상류 인구밀집지역과 농경지에서 오염물질 유입이 많았고 폭염과 열대야로 녹조류의 발생과 확산이 장기간 계속되었다.

 

확산 방지 및 정수 대책

조류확산 방지막 설치, 조류발생 저감 약품(PAC, 황토 등 응집제) 살포, 수중 폭기장치 가동, 취수탑 주변 조류유입 방지막 설치, 깨끗한 강물이 유입되어 Wash-out이 되도록  신속한 방류 처리 등이 있다.
녹조류가 발생하면 물의 이·취미, 미관상 불쾌감, 정수처리장애 등 일반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수처리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에 수돗물 수질에는 별 문제가 없다고 한다. 그러나 활성탄 등 오염물질 흡착제 사용량 증가와 정수처리 효율이 떨어져 비용이 상승하고 양질의 수돗물 공급에 차질을 빗을 수 있다.

 

예방 대책
조류의 발생예방 및 피해 방지를 위한 댐 내 대책과 병행해 유역내 오염행위에 대한 계도를 강화하고 '하천변의 쓰레기를 보다 철저히 수거해야 한다.

 조류발생의 원천적인 방지를 위해서는 유역내 철저한 하수처리와 더불어 축산분뇨관리, 농경지 비료유출 방지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의 지자체와 주민들의 협조가 요구된다. 

 

2012.08.09. 최초입력

2012.08.10. 수정입력 -> 녹조 발생원인, 확산 방지 및 정수 대책, 예방대책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