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초록별과 그린 라이프

행복(幸福) / 유치환 시 / 낭독 이종환 / 또 한 해를 보내며 김민섭 본문

☞ Click ! 하위 폴더/'秀 문학과 서정

행복(幸福) / 유치환 시 / 낭독 이종환 / 또 한 해를 보내며 김민섭

김민섭 [Dr. rafael] 2016. 12. 31. 00:00






유치환 /행복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 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에머랄드빛 하늘이 환히 내다뵈는

우체국 창문 앞에 와서 너에게 편지를 쓴다.









행길을 향한 문으로 숱한 사람들이

제각기 한 가지씩 생각에 족한 얼굴로 와선

총총히 우표를 사고 전보지를 받고

먼 고향으로 또는 그리운 사람께로

슬프고 즐겁고 다정한 사연들을 보내나니.









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에 시달리고 나부끼어

더욱더 의지삼고 피어 흥클어진

인정의 꽃밭에서.....

너와 나의 애틋한 연분도...

한방울 연연한 진홍빛 양귀비 꽃인지도 모른다.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 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

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






설령 이것이 이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사랑하였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





또 한 해를 보내며

김 민섭



























청마 유치환 시인 / 낭독 이종환



정운(이영도)는 재색을 고루 갖춘 규수로 출가하여 딸 하나를 낳고
홀로 되어 해방되던 해 가을 통영여중 가사 교사로 부임했다.

해방이 되자 고향에 돌아와 통영여중 국어교사가 된 청마의 첫눈에
정운은 깊은 물그림자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일제하의 방황과 고독으로 지쳐 돌아온 남보다 피가 뜨거운
서른 여덟살의 청마는 스물아홉의 청상 정운을 만나면서
걷잡을 수 없는 사랑의 불길이 치솟았다.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임은 뭍같이 까딱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날 어쩌란 말이냐



통영 앞바다에서 바위를 때리고 있는 청마의 시 "그리움"은
"뭍같이 까딱않는" 정운에게 바친 사랑의 절규였다.


유교적 가풍의 전통적 규범을 깨뜨릴 수 없는 정운이기에

마음의 빗장을 굳게 걸고 청마의 사랑이 들어설 틈을 주지 않았다.

청마는 하루가 멀다하고 편지를 쓰고 시를 썼다.
날마다 배달되는 편지와 청마의 사랑 시편들에
마침내 빙산처럼 까딱않던 정운의 마음이 녹기 시작했다.


청마가 정운에게 보낸 편지들은 모두 그대로 시였다.



내가 언제 그대를 사랑한다던?
그러나 얼굴을 부벼들고만 싶은 알뜰함이
아아 병인양 오슬오슬드는지고

덧없는 목숨이여
소망일랑 아예 갖지 않으매
요지경같이 요지경같이 높게 낮게 불타는
나의 -노래여, 뉘우침이여

나의 구원인 정향!
절망인 정향!

나의 영혼의 전부가 당신에게만 있는 나의 정향!
오늘 이 날이 나의 낙명(落命)의 날이 된달지라도
아깝지 않을 정향

1952년 6월 2일 당신의 마(馬)




끝이 보이지 않던 유치환의 사랑은 갑작스런 죽음으로 끝이 났다.
1967년 2월 13일 저녁, 부산에서 교통사고로 붓을 영영 놓게 된 것이다.

통영여자중학교 교사로 함께 근무하면서 알게 된
이영도(일찍이 결혼했으나 21세의 젊은 나이에
남편과 사별하고 당시 딸 하나를 기르고 있었다)에게
청마는 1947년부터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편지를 보냈다
그러기를 3년, 마침내 이영도의 마음도 움직여
이들의 플라토닉한 사랑은 시작됐으나
청마가 기혼자여서 이들의 만남은 거북하고 안타깝기만 했다.

청마는 1967년 2월 교통사고로 사망할 때까지
20년동안 편지를 계속 보냈고
이영도는 그 편지를 꼬박꼬박 보관해 두었다.

그러나 6·25전쟁 이전 것은 전쟁 때 불타 버리고
청마가 사망했을 때 남은 편지는 5,000여 통이었다.
<주간한국>이 이들의 "아프고도 애틋한 관계"를
〈사랑했으므로 나는 행복하였네라〉라는
제목으로 실은 것이 계기가 되어 청마의 편지 5,000여
통 중 200통을 추려 단행본으로 엮었다.
이 청마의 사랑 편지가 책으로 나오자
그날로 서점들의 주문이 밀어닥쳤고
베스트셀러가 되어 무명 중앙출판출사는
대번에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마땅히 서한집의 인세는 청마의 유족에게
돌아가야할 것이나 정운은 시전문지"현대시학"에
"작품상"기금으로 기탁운영해오다 끝을 맺지 못하고
76년 3월6일 예순의 나이로 갑자기 세상을 뜬다.

더 크게 만들겠다던 문학상 기금은
정운의 타계로 붓지 않고
구상.김준석.임인규등 문학상 운영위원들의
합의로 "정운시조상"으로 이어져오고 있다

.

.

.


초록별과 그린 라이프

2011.01.07 내용입력

2016.12.30.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