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별과 그린 라이프
앞으로 인류가 재앙을 맞는다면, 그 이유는... 본문
2012년 인류가 재앙을 맞는다면, 그 이유는…
1918년, 흔히 '스페인독감'이라고 부르는 전염병이 전 세계를 강타했다. 지난 100년간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낳은 이 독감은 한 해 동안 전 세계에서 4000만~1억 명의 목숨을 앗았다.
한반도는 어땠을까? 조선총독부의 통계 연감을 보면, 이 스페인독감으로 당시 국내 인구 759만 명의 약 38%인 288만4000명이 감염돼 14만 명이 사망했다. 당시 통계의 부정확성을 감안하면 실제 사망자는 이보다 더 많았을 것이다. 이 사망자 수를 지금의 남한 인구로 환산하면 약 50만 명이다.
이런 100년 전의 전염병 유행을 언급하면 사람들은 코웃음부터 친다. "의학이 얼마나 발전했는데, 다시 그럴 일이 있겠어?" 그러나 진실은 정반대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A'가 유행했을 때, 취재 도중에 만난 한 과학자는 이런 얘기를 했었다. 그의 솔직한 얘기를 들어 보자.
"1918년과 현재를 비교했을 때 달라진 것은 두 가지입니다. 인플루엔자를 치료할 수 있는 약, 인플루엔자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 이 두 가지가 있어요. 그런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늘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이 두 가지를 '미리' 준비하는 게 쉽지 않아요. 결국, 우리는 1918년과 하나도 다를 바 없는 상황에서 전염병의 공격에 노출돼 있는 것입니다."
풀러 토리와 로버트 욜켄의 <우리는 모두 짐승이다 : 동물, 인간, 질병>(이음 펴냄)은 이 과학자의 얘기를 제대로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책이다. 전염병과 그 원인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원생동물 등 병원체의 관계를 놓고, 과학과 역사를 씨줄과 날줄로 엮은 이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따라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등골이 오싹해지니 피서용 책으로도 맞춤이다.
전염병을 이해하는 세 가지 열쇳말
|
▲ <우리는 모두 짐승이다>(풀러 토리·로버트 욜켄 지음, 박종윤 옮김, 이음 펴냄). ⓒ이음 |
원래 조류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리를 비롯한 물새의 몸속에서 자리를 잡고 수백만 년 동안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 바이러스와 물새 사이에 일종의 '평형' 상태가 유지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상태는 사람이 오리를 가축으로 키우면서 깨진다. 바이러스가 물새가 아닌 사람과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된 것이다.
특히 중국 남부에서 이 관계는 커다란 '변화'를 야기한다. 중국 남부에서는 전통적으로 오리를 닭, 돼지 등과 같이 키우고 그 똥오줌을 연못에 떨어뜨려서 어류를 양식하는 관행이 있었다. 물론 그 물은 오리, 돼지 심지어 사람도 마신다. 이런 상황에서 오리 몸속에 있었던 바이러스는 쉽게 돼지, 사람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특히 돼지는 이 바이러스에게 변화를 위한 최적의 장소를 제공한다. 여러 가지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동시에 감염될 수 있는 돼지 몸속에서 바이러스는 서로 유전자를 바꿔가면서 새로운 변종으로 재탄생한다. 그 변종 바이러스 중 일부가 바로 인간을 공격하는 능력을 획득한 것이다.
이런 변화는 최근에 더욱더 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닭, 오리 수천 마리를 집단 사육하는 기업 농장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최상의 놀이터다. 결국 1997년에 이 바이러스는 (돼지 없이) 닭에서 사람으로 직접 옮아가는 능력을 획득했다. 이 바이러스가 다시 사람에서 사람으로 옮아가는 능력까지 얻는다면, 그것은 더 이상 바이러스가 아니라 '괴물'이다.
인간이 초래한 전염병 재앙
조류 독감의 예에서도 살폈듯이, 이 책은 전염병의 대부분이(!) 인간의 자업자득이라는 관점을 취한다. '평형' 상태를 깨면서 전례 없는 '관계'를 맺고, 결국 병원체의 치명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장본인이 대개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얼른 감이 안 온다면 기후 변화나 슬럼 확산을 생각해보자.
인간 활동의 명백한 결과인 지구 온난화는 기후 변화를 초래한다. 책에서 간략히 언급했듯이, 기후 변화로 북반구가 따뜻해질 가능성이 크다. 따뜻한 기후는 말라리아, 댕기열, 황열과 같은 전염병의 병원체를 옮기는 모기의 서식지를 넓힌다. 이런 모기는 열대 우림의 웅덩이가 아니라 도시의 하수구에서 각종 병원체와 함께 사람에 대한 새로운 공격을 꾀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세계 곳곳에 자리를 잡은 수천만 명이 모여 사는 거대 도시는 전염병 병원체의 또 다른 놀이터다.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거대 도시에서 예외 없이 볼 수 있는 거대 슬럼은 전염병 병원체의 시각에서 보자면 에덴동산이다. 만약 이런 슬럼에서 똬리를 틀던 병원체가 사람을 공격하기 시작한다면 그 결과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이 책에서 간단히 언급한 이런 시각("열대 지방의 거대 도시는 앞으로 출현할 전염병의 부화기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을 자세히 살펴보려면 마이크 데이비스의 탁월한 책 <슬럼, 지구를 뒤덮다(김정아 옮김, 돌베개 펴냄)와 <조류 독감>(정병선 옮김, 돌베개 펴냄)을 함께 읽어보자.
장담하건대, 가슴을 쓸어내리면서 이런 말을 내뱉을 것이다. "인류가 운이 좋았구나!" 왜냐하면, 21세기 들어서 2004년(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2009년(신종 플루) 두 차례 유행한 전염병이 모두 거대 슬럼을 비켜갔거나(사스), 맹독성이 약해서 커다란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기(신종 플루) 때문이다.
용도 폐기되는 인간?
보론을 덧붙인 손한경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원생동물과 같은) 미생물을 지구에서 생명을 이어가는 동등한 주체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이 책의 핵심 주장을 한 번 더 강조한다. 이 책의 저자나 손한경이 남다른 생태주의적 감수성을 가져서 이런 얘기를 하는 게 아니다.
앞에서 봤듯이, 미생물(병원체)과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인간의 생존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사실상 미생물이 지배하는 지구에서 잠시 주인 행세를 했던 인간이 용도 폐기되는 상황이 올 수 있는 것이다. 글머리에 언급한 그 과학자는 이런 말도 덧붙였다. 오싹하다.
"동양, 서양을 막론하고 2012년의 어느 시점에 인류가 큰 재앙을 맞이하리라는 예언이 있잖아요. 나는 그런 종말론에는 전혀 흥미가 없는 사람이지만, 만약 정말로 그런 재앙이 온다면 그것은 바로 전염병일 것입니다. 흥미롭게도 많은 과학자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가까운 시점에 대변이를 일으키리라고 확신합니다. 어쩌면 2012년에요." (책 소개 글)
'Our issu.&New thinking > +그런데세상은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기상청 "방사성물질 한반도 전역 영향" 예측 (0) | 2011.04.07 |
---|---|
영화 '일본침몰'의 한 장면? 사상 최악의 지진·쓰나미 (0) | 2011.03.12 |
[천하대세] 전염병과 루스 몽고메리의 예언 (0) | 2011.03.04 |
생로병사의 루트가 바뀐다. (0) | 2011.03.04 |
올해 자연재해 희생자 26만명, 30년 래 최고 (0) | 2010.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