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초록별과 그린 라이프

개성공단 인터넷 연결…북 사이버 폐쇄정책 풀리나? 본문

Our issu.&New thinking/+1)남북국제전반

개성공단 인터넷 연결…북 사이버 폐쇄정책 풀리나?

김민섭 [Dr. rafael] 2010. 6. 18. 18:08

개성공단 인터넷 연결…북 사이버 폐쇄정책 풀리나?

 

 

 

[앵커멘트]

북한은 정치, 사회뿐 아니라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도 쿠바나 라오스 같은 나라처럼 폐쇄적인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개성공단의 인터넷 연결이 가시화되면서 북한의 인터넷 도입에도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 남과 북은 군사분계선을 통해 광케이블이 연결돼 있습니다.

모두 12개 회선인데 개성공단의 전화와 인터넷 사용을 위해 지난 2005년 KT가 설치한 것입니다.

이 가운데 4개 회선은 평양으로 연결돼 화상상봉에 이용되고 있지만 인터넷 사용은 허용되지 않아 왔습니다.

KT측은 광케이블이 깔려 있는 만큼 북측의 허가만 있으면 언제든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이규성, KT 남북협력담당 상무]

"걸림돌만 제거되면 인프라가 구축된 만큼 일주일 정도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개성공단에 인터넷이 연결돼도 북한주민의 이용은 철저히 차단될 전망입니다.

북한이 대내외를 분리하는 인터넷 정책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북한 주민들이 사용하는 '광명망'은 해외와 연결되지 않은 폐쇄적인 통신망.

인터넷 채팅이나 네트워크 게임 등이 가능하지만 감시가 가능한 구조입니다.

하지만 이런 폐쇄적인 북한에도 변화의 바람은 불고 있습니다.

북한은 최근 국가식별 도메인 kp의 사용권한을 받은 데 이어 방화벽을 구축하는 등 인터넷 개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설충, 통일부 경제분석팀장]

"필요한 부분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벽이 구축한 뒤 인터넷 접속을 개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넷 사용률 80%로 세계 1위인 남한과 인터넷을 허용하지 않는 북한이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고 있는 묘한 상황.

개성공단의 인터넷 연결이 북한의 사이버 공간에도 봄을 불러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YTN 신현준입니다.

[저작권자(c) YTN & Digital YTN.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북한, “인터넷 주소 1000개 등록”
2010년 06월 14일
 
북한은 최근 인터넷 주소 1천24개를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제적인 기술 전문매체인 IDG는 지난 10일 ‘북한이 지난 몇 달 간 관련 기관을 통해 인터넷 주소를 무더기로 등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는 ‘북한이 조용히 인터넷에 접근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국제사회에서 정보통신의 암흑지대로 알려진 북한이 인터넷 접근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고 전했습니다.

이 매체는 또 북한의 인터넷 주소를 평양에 있는 태국계 회사인 ‘스타 조인트 벤처’가 관리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회사는 지난 2002년 평양에 손 전화기를 보급한 태국의 통신회사인 ‘록슬리’의 자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북한이 이번에 국제기관에 등록한 것은 ‘인터넷 주소’입니다. 인터넷 주소란 개별 컴퓨터에 부여된 일종의 컴퓨터 주소로 이 것이 있어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고 과거 북한 김책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한 탈북자 김흥광 씨는 말했습니다.

“인터넷 주소라고 하는 것은 월드 와이드 웹, 즉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개별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 부호로 볼 수 있어요.”

북한은 지난 2007년에 인터넷을 관장하는 국제 기관으로  인터넷 국가부호인 ‘KP’ 사용을 허가 받았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그동안 인터넷 주소를 등록하지 않은데다 자국의 컴퓨터를 국제적인 인터넷 망과 연결하지 않아 인터넷에 접근할 수 없었습니다.

인터넷은 21세기의 대표적인 정보통신 수단입니다. 이 때문에 어떤 나라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은 흔히 개방의 척도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북한이 이번에 인터넷 주소를 등록했다고 해서 이를 개방의 신호로 보기는 힘들다고 말했습니다. 워싱턴의 민간 연구기관인 정책연구소의 존 페퍼 국장입니다.

“한반도 전문가인 존 페퍼 국장은 인터넷에 대한 북한의 지금까지의 태도를 볼 때 인터넷 주소 등록을 개방의 신호로 보기는 힘들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컴퓨터 사정에 밝은 탈북자 김흥광 씨도 북한 당국이 대외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인터넷 연결을 시도하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내에서 자신들이 알고 싶은 국제사회의 정보를 편리하게 가져 오고 싶은 필요성은 절실하게 알고 있고, 그런 것에 대한 고육지책이죠.”

1990년대 중반에 등장한 인터넷은 현재 한국은 물론 미국,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에서 18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정보통신 수단입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인터넷을 연결할 경우 외부 소식이 주민들에게 알려질 것을 우려해 아직까지 인터넷 연결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전세계 2백여개 국가 중 일반인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나라는 북한과 투르크메니스탄 정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