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초록별과 그린 라이프

'내가먼저'녹색생활 실천 ③녹색소비 본문

Our issu.&New thinking/+어떻게해야지요

'내가먼저'녹색생활 실천 ③녹색소비

김민섭 [Dr. rafael] 2011. 4. 25. 06:25

 

 

 

평소 여행을 좋아하는 주부 A씨는 이번 여름휴가가 유독 기다려진다. 그간 쌓은 항공마일리지 덕분에 공짜로 제주도행 비행기를 타게 됐기 때문이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해외여행을 다녔던 게 큰 도움이 됐지만, 그간 즐겨 사용했던 ‘그린카드’도 적잖은 역할을 했다. 녹색제품을 구매하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그린카드를 통해 쌓아온 포인트를 이번에 항공마일리지로 전환 했던 것이다. 흐뭇한 마음으로 여행 가방을 챙기며 A씨는 ‘앞으로 더 열심히 녹색소비에 동참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정부·공기관·민간의 녹색소비 노력 ‘활발’=앞으로 몇 년 후에는 A씨 같은 사례가 심심찮게 들릴 수 있을 것을 보인다. 정부는 녹색생활에 적극적인 시민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부여하는 ‘그린카드’를 도입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신용카드·포인트 카드 등 기존 시민들이 사용하는 카드를 그린카드로 발급해 에너지·자원을 절약하거나 녹색제품을 구매하는 등의 경우 그린 포인트를 지급해 녹색소비 생활을 촉진한다는 목표다. 그린 포인트를 통해 시민들은 △녹색제품 △극장티켓 △호텔이용권 △레스토랑상품권 △항공마일리지 △환경복지기부 등 다양하고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이 필요하다는 시민들의 인지도는 비교적 높지만, 실천으로 이어지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라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다. 정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제조업체·유통매장·카드회사·금융기관 등 여러 기관이 협력해 시민들이 보다 ‘쉬우면서도’ ‘자발적으로’ 녹색소비를 적극 수행하도록 돕는다는 목표다.

사실 시민들의 자연스러운 녹색소비 참여를 위한 정부·공기관의 노력은 이미 사회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에너지관리공단이 수행하고 있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다.

이는 소비자들이 효율 높은 에너지절약형 제품을 손쉽게 판단해 구입할 수 있도록 제품의 에너지소비효율(사용량)에 따라 등급라벨(1~5등급, 사용 시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의무적으로 표시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최저소비효율기준 미달제품에 대해서는 생산·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지난 1992년 도입된 이 제도는 2011년 현재 전기냉장고 등 24개 품목에 적용·시행되고 있으며, CO₂ 배출량뿐 아니라 연간 에너지비용도 표시하고 있다.

에너지관리공단은 ‘전기흡혈귀’라고 불리는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한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도 수행하고 있다. 대기시간에 전력소비가 많은 22개 가전·사무기기를 대상으로 대기전력 저감성이 우수한 제품의 보급을 늘리기 위해 대기전력저감기준 만족제품에 ‘에너지절약마크’를 표시하고 있다.

지난 1999년 처음으로 프로그램이 도입됐으며, 현재는 세계 최초로 ‘대기전력 경고표시제’의 도입 및 확대 시행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대기전력저감기준 미달제품에 경고표지를 의무화하는 것으로, 위반 시 5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한다. 현재는 TV·셋톱박스·컴퓨터 등 7개 제품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민간기업의 활동도 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롯데쇼핑 등 국내 31개 업체들은 지난 20일 녹색제품 생산·유통·소비 활성화를 위한 자발적 협약을 환경부와 맺었다. 롯데쇼핑·롯데마트·동부제철·포스코ICT 등 16개 업체는 기존 협약기간(3년) 초과에 따라 재협약을 맺었으며, 국민은행·두산건설·대림산업 등 15개 업체가 이번에 새로 동참했다. 환경부-기업 간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은 지난 2005년 시작돼 지난해까지 총 123개 업체가 동참했다.

황계영 환경부 녹색기술경제과장은 “그간 협약을 통해 많은 성과를 이뤄왔다”며 “정부공인 녹색제품과 에너지절약마크 인증제품,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규정한 녹색구매 대상제품인 친환경 원·부자재 등을 포함할 경우 2009년 녹색구매 규모는 22조 1270억원에 이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중 정부공인 녹색제품(환경마크·GR마크) 구매액은 2705억원으로 이는 2008년 대비 약 13% 증가한 수치”라며 “지난 2006년부터 녹색제품 구매액은 매년 300억원 이상 증가해왔다”고 덧붙였다.

◇녹색소비의 중요성과 특징=정부·공기관·민간이 합심해 이 같이 녹색소비에 노력을 기울이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 배출량 중 31% 가량은 비산업부문(가정·공공·교통 등)이 차지하고 있다. 또한 비산업부문에서 시민들이 실천할 수 있는 녹색소비생활은 고효율 시설투자나 기기교체처럼 많은 비용과 시간투자 없이 손쉽게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라는 게 환경산업기술원의 분석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조사에 따르면 녹색생활운동으로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은 2560만 CO₂톤으로, 비산업부문 총 감축잠재량(7350만 CO₂톤)의 34.8%에 해당한다.

녹색소비는 보편적 생활양식의 변화를 필요로 하는 만큼 다양한 관련 주체들의 역할 분담과 적극적인 참여, 책임 공유가 중요하다는 게 환경산업기술원의 분석이다. 또한 녹색소비는 공동체적 생활양식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소비자·기업·정부 모두 협력해야 하며, 특히 도입단계에서는 정부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우선 정부는 기업·소비자·시민단체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해 녹색소비 정책 개발·이행 촉진 및 타 공공정책과의 통합을 추진해야 한다. 녹색소비 정책은 시장에서 소비자의 녹색선택권이 확보될 수 있도록 녹색소비를 촉진·유도·지원하는 정책으로, 녹색유통을 통해 녹색시장 및 녹색생산과 연결된다.

소비자는 녹색소비를 촉진하고 정착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친환경제품·에너지 고효율 제품 등 녹색제품을 우선구입 해야 하며 저탄소 녹색소비문화의 생활화가 필요하다.

기업은 제품·서비스의 디자인과 생산·유통을 통해 녹색소비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제품·서비스의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환경표지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서비스의 녹색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문승식 환경산업기술원 친환경상품실장은 “정부의 공공구매 및 조달규모는 2009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9~25% 정도로 상당히 크고 산업부문은 녹색생산의 주체일 뿐 아니라 대규모 구매력을 보유한 녹색소비의 주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며 “특히 가정과 소비자는 녹색비즈니스를 이끄는 중요한 집단으로서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하다”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