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 갑오년. 조선은 당시 한반도에 국권침탈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걸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모름’의 대가는 컸다. 갑오년부터의 ‘잃어버린 10년’은 1905년 외교권 박탈(을사보호조약)로 나타났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4년. 120년 만에 다시 돌아온 갑오년이다. 한반도 상황은 당시와 묘하게 닮았다. 미국·중국·일본은 한반도의 미래를 종속변수로 두고 큰 게임을 벌이고 있다. 개화파와 척사파, 친청·친일·친러파로 나뉘어 정쟁을 벌이던 120여 년 전과 현재의 진영갈등도 유사하다. 달라진 점은 대한민국의 위상이다. 남북분단의 상황은 당시엔 없었던 또 다른 악조건이다.
다시 돌아온 갑오년에 ‘신(新)갑오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일 신년사를 통해 “120년 전 외세에 떠밀려 추진한 개혁이 구한말 갑오개혁이었다면, 2014년 우리의 노력은 평화로운 한반도 통일시대를 준비하고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알리는 갑오개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각계 전문가들은 신갑오개혁을 위해선 우선 분단 상황의 극복을 위한 해법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미국·중국·일본·러시아가 얽혀 있는 동북아 정세에서 한국의 운신의 폭이 제한되고 있는 이유는 분단 상황 때문이다. 북한의 핵 개발·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명분으로 군사대국화를 추진하는 일본, 이런 일본의 군사적 역할 확대를 묵인하고 있는 미국, 미국에 대항해 초대국의 꿈을 키워가고 있는 북한의 후견인 중국. 이 틈바구니에서 한국이 취할 수 있는 선택지는 많지 않다. 문정인(정치외교학) 연세대 교수는 “남북관계가 잘 풀려야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지정학적 각축에서 우리가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남북관계를 한꺼번에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남북 대화와 교류의 전면 중단을 불러온 ‘5·24 조치’를 완화하기 위한 대화 노력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5·24 조치는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이명박정부가 북한에 내린 징벌성 조치다. 이로 인해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 경협과 인적 교류가 4년째 전면 중단됐다. 한영우(국사학) 서울대 명예교수는 “막다른 골목에 몰린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큰 그림을 올해 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명박정부에서 5·24 조치 입안에 관여했던 청와대 고위급 인사조차 “북한을 화해와 공존의 틀로 끌고 나오려면 만나야 하고, 그러려면 5·24 조치를 어떻게 풀지 고민해야 한다”며 “남북 간 물밑 작업을 통해 5·24 조치 해제의 명분을 만들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24 조치 를 풀어 북한과의 관계를 풀어야 한다”(조동호 이화여대 교수·북한학)거나 “물밑 접촉을 통해 5·24 조치 완화의 미끼를 던져야 한다”(한영우 교수)는 주장과 통한다.
5·24 조치를 전향적으로 푸는 건 박근혜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나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의 실현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호열 고려대(북한학) 교수는 “장성택 숙청 후의 북한 내부 동향과 우리에 대한 태도를 상반기까지 주시한 뒤 6월 지방선거 전후 부분적으로 5·24 조치 완화 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도 김정은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북남관계 개선’을 거론한 만큼 우리 측과 대화 시 상응하는 조치를 보여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5·24 조치=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대북제재 조치. 북한 선박의 남측 해역 운항 전면불허, 대북교역 중단, 국민 방북 불허, 대북 신규투자 불허, 대북 지원사업 보류 등이 골자다.
2014년. 120년 만에 다시 돌아온 갑오년이다. 한반도 상황은 당시와 묘하게 닮았다. 미국·중국·일본은 한반도의 미래를 종속변수로 두고 큰 게임을 벌이고 있다. 개화파와 척사파, 친청·친일·친러파로 나뉘어 정쟁을 벌이던 120여 년 전과 현재의 진영갈등도 유사하다. 달라진 점은 대한민국의 위상이다. 남북분단의 상황은 당시엔 없었던 또 다른 악조건이다.
다시 돌아온 갑오년에 ‘신(新)갑오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일 신년사를 통해 “120년 전 외세에 떠밀려 추진한 개혁이 구한말 갑오개혁이었다면, 2014년 우리의 노력은 평화로운 한반도 통일시대를 준비하고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알리는 갑오개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각계 전문가들은 신갑오개혁을 위해선 우선 분단 상황의 극복을 위한 해법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미국·중국·일본·러시아가 얽혀 있는 동북아 정세에서 한국의 운신의 폭이 제한되고 있는 이유는 분단 상황 때문이다. 북한의 핵 개발·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명분으로 군사대국화를 추진하는 일본, 이런 일본의 군사적 역할 확대를 묵인하고 있는 미국, 미국에 대항해 초대국의 꿈을 키워가고 있는 북한의 후견인 중국. 이 틈바구니에서 한국이 취할 수 있는 선택지는 많지 않다. 문정인(정치외교학) 연세대 교수는 “남북관계가 잘 풀려야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지정학적 각축에서 우리가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명박정부에서 5·24 조치 입안에 관여했던 청와대 고위급 인사조차 “북한을 화해와 공존의 틀로 끌고 나오려면 만나야 하고, 그러려면 5·24 조치를 어떻게 풀지 고민해야 한다”며 “남북 간 물밑 작업을 통해 5·24 조치 해제의 명분을 만들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24 조치 를 풀어 북한과의 관계를 풀어야 한다”(조동호 이화여대 교수·북한학)거나 “물밑 접촉을 통해 5·24 조치 완화의 미끼를 던져야 한다”(한영우 교수)는 주장과 통한다.
5·24 조치를 전향적으로 푸는 건 박근혜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나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의 실현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호열 고려대(북한학) 교수는 “장성택 숙청 후의 북한 내부 동향과 우리에 대한 태도를 상반기까지 주시한 뒤 6월 지방선거 전후 부분적으로 5·24 조치 완화 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도 김정은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북남관계 개선’을 거론한 만큼 우리 측과 대화 시 상응하는 조치를 보여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5·24 조치=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대북제재 조치. 북한 선박의 남측 해역 운항 전면불허, 대북교역 중단, 국민 방북 불허, 대북 신규투자 불허, 대북 지원사업 보류 등이 골자다.